프로젝트 계획
이 계획과 일정은 모든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우리는 부지 확보, 범 국가적 모금 캠페인 및 다른 중요한 작업에 대해 한국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받아야 이루어질 수가 있습니다. 고로, 이 계획은 상황에 따라 수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 유엔 참전용사추모공원 (UN Memorial Park) 은 2단계로 개발될 예정이며, 서울시내의 일반인들의 접근 하기에 좋은 위치에 약 7,000제곱미터(1.72에이커, 2,120평)의 부지가 필요합니다.
이 추모 공원의 디자인은 워싱턴 DC의 한국 전쟁 참전 용사 기념 공원을 모델로 합니다. 미국 내셔널 몰에 지어진 공원의 디자인은 500여 출품작이 제출된 미 전국 디자인 컨셉 공모를 통해 수많은 미국인들과 참전 용사들의 의견을 모아서 선정되었습니다.
미국은 한국전쟁에 병력, 장비 및 물적 지원을 가장 많이 공여한 나라입니다. 우리는 이 개념을 한국에 세워질 공원에 도입함으로써 전쟁의 수혜자인 한국인들이 공헌국 시민들이 갖고 있는 감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 유엔 공원은 추모 공원으로 서의 엄숙함과 남녀노소 모든 추모 방문객이 특별한 경험을 갖게 하기 위한 첨단 조명 디스플레이가 포함될 것입니다. 이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한국전쟁 관련 기념 시설이 될 것이며 전쟁의 폐허 속에서 세계적인 국가로 우뚝 선 한국의 상징적인 공원이 될 것입니다. 또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방문지가 될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는 추모의 벽 건설입니다. 이 추모의 벽에는 미군 희생자 36,634명, 유엔 회원국 15개국 사상자 3,577명, 미군과 함께 전투 중 희생을 치른 한국군 카투사 병사 7,174명 등 47,325명의 이름이 영어로 새겨 질것입니다. 위의 전사자 수는 한국과 미국 국방부의 문서 검색이 계속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 이름들은 약 110개의 단단한 검은색 대형 화강암 블록에 새겨질 것입니다. 각 블록은 약 120 평방cm 사각형이고 한 개의 무게는 약 5톤 정도입니다. 이 추모의 벽 규모는 미국 워싱턴 추모 공원의 Wall of Remembrance보다 약 10% 큽니다.
두번째 프로젝트 추모의 전선 (Remembrance of Frontline) 에 대한 설명은 다음의 프로젝트 일정에 소개됩니다.
프로젝트 일정
우리의 우선 목표는 한국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받아서 약 7,000 평방 미터의 유엔공원 부지를 부여 받는 것입니다.
1단계
추모의 벽: 제1차 공사
Wall of Remembrance
추모의 벽(1단계) 건설은 약 18개월에서 20개월이 소요됩니다. 우리가 소원하는 대로 2025년 4분기까지 추모 공원 부지를 정부로부터 부여받을 수 있다면, 2027년 7월 27일 또는 11월 11일에 헌납 될 수 있습니다.
2단계 기공식은 1단계 헌납식 당일에 함께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2단계를 완료하고 헌납하는 데 약 14개월이 소요되며, 한국전쟁 정전협정일인 2029년 7월 27일까지 완료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2단계
추모의 전선: 제2차 공사
Frontline of Remembrance
프로젝트의 두 번째 단계는 20개의 2.5미터(8피트) 조각상을 특징으로 하는 추모의 전선 (Frontline of Remembrance)입니다. 각각 개성과 표현이 다른 이 동상들은 한국 시골의 논 능선을 연상시키는 들판을 가로질러 전진하는 군인들이 각자 소총이나 기타 장비를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할 것입니다.
세워질 동상의 수는, 미국을 대표하는 5명; 36,634명의 전투 사망자로 가장 많은 사상자를 낸 육군, 해병대, 해군, 공군, KATUSA와 한국전쟁 전투에서 전사자를 배출한 다음의 15개 유엔 회원국 각각 1개씩 총 20개의 동상을 세우게 됩니다.
영국 (1,078명 전사)
투르키에 (724 전사)
오스트레일리아 (339 전사)
프랑스 (269 전사)
캐나다 (262 전사)
그리스 (188 전사)
콜롬비아 (163 전사)
네덜란드 (120 전사)
에티오피아 (122 전사)
필리핀 (112 전사)
벨기에 (106 전사)
타이랜드 (35 전사)
남아프리카 공화국 (34 전사)
뉴질랜드 (23 전사)
룩셈부르크 (2 전사)
더하여, 비 전투 지원을 제공한 5개 유엔 회원국에 감사하는 5개의 비석이 세워집니다.
덴마크
인도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웨덴
위의 동상은 준비위원회가 제공한 표준 사양에 따라 해당 각국에서 설계 및 제작한 후 참전 공원으로 보내 설치됩니다.
이 단계의 예상 예산은 약 280억 원 (미화 2천만 달러)입니다.
다음: 유엔 공원의 효과









